주일예배 설교
여사사 드보라와 야엘 여인 (삿4:1-10)
Author
gospel323
Date
2018-07-24 12:22
Views
1471
여사사 드보라와 야엘 여인 (삿4:1-10)
1. 이스라엘 자손이 또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매(1절)
(1) 사사기의 반복되는 범죄 역사가 가르치는 점
① 모든 인간은 반드시 하나님을 떠나 자기 주인 되고자 한다.
- 사사기의 범죄 역사는 이스라엘 부모들의 자녀교육 부재를 책망하기 보다는 인간 죄 의 본성을 알려줌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하나님을 거부하고 자기가 하나님 되고자 한다. 스스로 만물의 주인이 되어 선악을 판단하고자 한다. 350여년간 여러세대에 걸 친 반복되는 범죄는 이것을 보여준다.
② 예외는 없다. 나도 그렇다.
- 사사기의 범죄는 나도 동일한 죄인임을 보여준다. 우리는 언제나 자신은 예외로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를 보면 나도 똑같음을 알게 된다. 나도 믿음이 없고, 나도 불 신앙하고, 나도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 아나라 하나님이 나를 섬기도록 하고 있다. 범 죄하는 이스라엘은 바로 나이다.
(2) 에훗이 죽은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또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매
① 하솔왕 야빈이 이스라엘을 20년간 심히 학대함
- 하솔은 가나안 북부 여러 성읍들의 우두머리였다. 고고학 발굴에 따르면 하솔은 여리 고보다 세배나 크며, 여호수아 때 가나안 마지막 전투에서 정복되었다. 여기 하솔은 정복 후 약 1세기 이후 다시 세력을 얻은 하솔이며 야빈은 사람이름이 아니라 애굽 의 바로와 같은 하솔 왕의 칭호였을 것이다.
② 군대장관 시스라와 철병거 구백승
- 이스라엘을 직접적으로 위협한 사람은 시스라였다. 그는 철병거 구백승을 거느리고 이스라엘을 공격하였다. 고대전쟁은 칼과 창, 방패를 들고 대열을 갖춰 근접전투를 벌인다. 이때 철갑의 전차들이 밀고 들어오면 군사 대열은 일시에 흩어지게 된다. 보 병은 전차의 뒤를 따라 들어와 흩어진 병사들을 뒤쫓아 칼로 죽인다. 고대전쟁에서 철병거는 대단한 무기였다.
③ 이스라엘은 시스라의 철병거를 심히 두려워하였다.
- 삿5:6 “아낫의 아들 삼갈의 날에 또는 야엘의 날에는 대로가 비었고 소로로 다녔도 다. 이스라엘의 관원이 그치고 그쳤더니...” 당시 이스라엘을 상황을 표현하는 드보라 의 시이다. 사람들은 시스라의 군대가 두려워 큰길로 다니지 못하고 작은 길로 숨어 다녔다는 것이다.
2. 이스라엘을 구원한 두 여인 - 여사사 드보라와 야엘 여인
(1) 여사사 드보라
① 드보라는 랍비돗의 아내였다.
- 랍비돗이 누구인지는 성경에 명확하게 기록되지 않아 잘 모르지만 드보라는 한 남자 와 결혼한 아내였음은 분명하다. 잔다르크는 결혼하지 않은 처녀임을 성스럽게 부각 하지만 성경은 결혼한 여사사를 말하고 있다. 결혼 유무가 성스러움의 기준이 아니 다. 여성은 결혼을 통하여 더 완전해지고 원숙해진다. 하나님은 아줌마 주부도 쓰신 다.
② 드보라는 여선지자였다.
- 드보라가 사사가 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그녀에게 임하셨기 때문이다. 성경에는 몇 명의 여선지자가 등장하는데 드보라와 모세의 누이 미리암(출15:20), 훌다(왕하22:14) 등이 있다. 이들은, 성경이 기록되기 전인 구약시대 때 하나님께로부터 예언자로 부 름받은 여인들이었다. 드보라는 시스라의 철병거로 이스라엘 남자들이 두려워할 때 바락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다. 성경이 기록된 오늘날에는 남자와 여자 모두 선 지자가 없다.
③ 드보라는 바락이 시스라와의 기손강 전투에서 승리할 것을 예언한다.
- 드보라는 아마존의 여전사가 아니다. 드보라는 바락을 세워 시스라를 무찌르게 하는 일이다. 드보라는 바락에게 시스라의 군대를 기손강으로 끌어들이라고 말한다. 이는 장군에게 군사전략을 가르쳐 줌이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줌이다. 드보라의 예 언대로 하나님께서 폭우를 내리심으로 기손강은 범람하여 땅이 질퍽거리자 철병거는 진흙 속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시스라는 병거에서 내려 도보로 도망갔다.
(2) 헤벨의 아내 야엘
① 야엘 여인은 시스라를 죽여 전쟁을 끝낸 영웅이다.
- 시스라는 야엘의 장막으로 도망와서 급히 숨겨달라고 한다. 야엘은 지친 시스라가 식 사 후 깊은 잠에 빠지자 그의 관자놀을 말뚝으로 쳐서 죽인다. 하솔의 대장군 시스 라는 칼이 아닌 여인의 장막 말뚝에 의해 죽는다. 야엘 여인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스라엘을 위하여 시스라를 직접 죽인다. 하나님은 평범한 두 여인을 통해서 이스라엘을 구원하셨다.
(3) 여사사 드보라에게서 배울 점
① 드보라는 성경적 여성원리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사였다.
- 여성은 질서적으로 아담의 갈빗대로 만들어졌고, 역할적으로 아담을 돕는 배필로 창 조되었다. 돕는 배필이란 남자는 여자의 도움으로 완전해진다는 뜻이다. 성경적 여성 원리란 여자는 남자의 부족한 면을 도와주고 그와 함께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이다. 드보라는 이 점을 가장 잘 보여준 여성 지도자였다. 드보라는 여성으로서 남성 역할 을 가장 잘 완성시킨 여성이다.
- 남자와 여자는 경쟁관계가 아니라 상호의존, 상호보완 관계이다. 하나님은 남자와 여 자가 각자에게 주신 역할과 달란트를 사용해서 서로 도와 완전해질 것을 말하고 있 다. 사역해야할 남자가 힘을 잃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 하나님께서 여사사 드보라 를 세우신 이유이다.
② 드보라는 하나님 말씀으로 충만한 확신있는 여성 지도자였다.
- “이스라엘에 관원이 그치고 그쳤더니 나 드보라가 일어났고 내가 일어나서 이스라엘 의 어미가 되었도다”(삿5:7) 당시 이스라엘 남자들은 모두 시스라의 군대를 두려워하 여 숨을 죽이고 있었다. 아무도 감히 시스라와 맞설 생각을 하지 못했다. 드보라의 등장은 이스라엘 남자들이 영적으로 힘을 잃고 무너져가는 위기상황에서이다. 드보 라는 확신있는 여성 지도자였다. 모두가 방황하는 시대에 하나님을 경외하는 여인은 지혜롭고, 영적으로 힘이 있다. 드보라의 영적권위는 그녀에게 임한 하나님의 말씀이 었다.
③ 이 시대에 가정과 교회를 일으켜 세울 영적 드보라가 필요하다.
- 하나님께서 여사사 드보라를 세우신 것은 당시 이스라엘 남자들의 영적 무기력함을 보여준다.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시스라의 철병거에 굴복하고 두려워하는 영적 패배 감이 자리잡은 이때, 힘을 잃은 하나님의 군대에 다시 힘을 불어넣어줄 여사사 드보 라가 필요하다.이민 현장에서 지쳐있는 남자들을 일으켜 세울 가정과 교회의 영적 드보라가 필요하다.
<적용>교회와 가정을 일으켜 세울 영적 드보라들을 기다리며
(1) 우리의 작은 일에도, 하나님의 섭리가 있다.
- 시스라가 야엘의 장막에 들어간 것은 오래전 야엘의 남편 헤벨이 자기 족속을 떠나 가 나안 북부로 올라갔기 때문이다. 헤벨은 거기서 하솔왕과 서로 교류하고 화평하며 지내 게 된다. 그래서 시스라는 도망하다 헤벨의 집에 안심하고 들어갔고 거기서 죽게 된다. 우리 작은 일들 속에서 후에 이스라엘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큰 계획이 이루어진다.
(2) 이스라엘을 구원한 자는 대장군이 아니라 연약한 두 여인이었다.
- 하나님은 두 여인을 통하여 이스라엘을 구원하셨다. 이는 구원에 대한 어떠한 공로도 사 람이 가져가지 못하게 함이시다. 하나님은 연약한 자를 들어 강한 자를 부끄럽게 하시 는 분이시다. 연약한 우리가 하나님 손에 붙들린바 되면 이 시대를 살리는 도구로 쓰임 받을 수 있다.
(3) 이 시대는 하나님이 없어 방황하는 영적 사사시대이다.
- 나와 우리주님의 교회가 이 지역에 있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나님께서 전하라고 주신 말씀을 증거하기 위함이다. 연약한 여인이었던 드보라가 사사가 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셨기 때문이다. 우리도 전해야할 말씀이 있지 않은가? 잠시 지나가는 인생이 다.길어야 20년 안에 결론 나고 정리되는 우리의 삶이다. 여사사 드보라처럼 하나님 말 씀을 가지고 확신있게 나아가자. 하나님께서 이제 되었다고 하실 때까지 앞만 보고 나 아가자. 우리는 이것 때문에 부르심을 받았다.
1. 이스라엘 자손이 또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매(1절)
(1) 사사기의 반복되는 범죄 역사가 가르치는 점
① 모든 인간은 반드시 하나님을 떠나 자기 주인 되고자 한다.
- 사사기의 범죄 역사는 이스라엘 부모들의 자녀교육 부재를 책망하기 보다는 인간 죄 의 본성을 알려줌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하나님을 거부하고 자기가 하나님 되고자 한다. 스스로 만물의 주인이 되어 선악을 판단하고자 한다. 350여년간 여러세대에 걸 친 반복되는 범죄는 이것을 보여준다.
② 예외는 없다. 나도 그렇다.
- 사사기의 범죄는 나도 동일한 죄인임을 보여준다. 우리는 언제나 자신은 예외로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를 보면 나도 똑같음을 알게 된다. 나도 믿음이 없고, 나도 불 신앙하고, 나도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 아나라 하나님이 나를 섬기도록 하고 있다. 범 죄하는 이스라엘은 바로 나이다.
(2) 에훗이 죽은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또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매
① 하솔왕 야빈이 이스라엘을 20년간 심히 학대함
- 하솔은 가나안 북부 여러 성읍들의 우두머리였다. 고고학 발굴에 따르면 하솔은 여리 고보다 세배나 크며, 여호수아 때 가나안 마지막 전투에서 정복되었다. 여기 하솔은 정복 후 약 1세기 이후 다시 세력을 얻은 하솔이며 야빈은 사람이름이 아니라 애굽 의 바로와 같은 하솔 왕의 칭호였을 것이다.
② 군대장관 시스라와 철병거 구백승
- 이스라엘을 직접적으로 위협한 사람은 시스라였다. 그는 철병거 구백승을 거느리고 이스라엘을 공격하였다. 고대전쟁은 칼과 창, 방패를 들고 대열을 갖춰 근접전투를 벌인다. 이때 철갑의 전차들이 밀고 들어오면 군사 대열은 일시에 흩어지게 된다. 보 병은 전차의 뒤를 따라 들어와 흩어진 병사들을 뒤쫓아 칼로 죽인다. 고대전쟁에서 철병거는 대단한 무기였다.
③ 이스라엘은 시스라의 철병거를 심히 두려워하였다.
- 삿5:6 “아낫의 아들 삼갈의 날에 또는 야엘의 날에는 대로가 비었고 소로로 다녔도 다. 이스라엘의 관원이 그치고 그쳤더니...” 당시 이스라엘을 상황을 표현하는 드보라 의 시이다. 사람들은 시스라의 군대가 두려워 큰길로 다니지 못하고 작은 길로 숨어 다녔다는 것이다.
2. 이스라엘을 구원한 두 여인 - 여사사 드보라와 야엘 여인
(1) 여사사 드보라
① 드보라는 랍비돗의 아내였다.
- 랍비돗이 누구인지는 성경에 명확하게 기록되지 않아 잘 모르지만 드보라는 한 남자 와 결혼한 아내였음은 분명하다. 잔다르크는 결혼하지 않은 처녀임을 성스럽게 부각 하지만 성경은 결혼한 여사사를 말하고 있다. 결혼 유무가 성스러움의 기준이 아니 다. 여성은 결혼을 통하여 더 완전해지고 원숙해진다. 하나님은 아줌마 주부도 쓰신 다.
② 드보라는 여선지자였다.
- 드보라가 사사가 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그녀에게 임하셨기 때문이다. 성경에는 몇 명의 여선지자가 등장하는데 드보라와 모세의 누이 미리암(출15:20), 훌다(왕하22:14) 등이 있다. 이들은, 성경이 기록되기 전인 구약시대 때 하나님께로부터 예언자로 부 름받은 여인들이었다. 드보라는 시스라의 철병거로 이스라엘 남자들이 두려워할 때 바락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다. 성경이 기록된 오늘날에는 남자와 여자 모두 선 지자가 없다.
③ 드보라는 바락이 시스라와의 기손강 전투에서 승리할 것을 예언한다.
- 드보라는 아마존의 여전사가 아니다. 드보라는 바락을 세워 시스라를 무찌르게 하는 일이다. 드보라는 바락에게 시스라의 군대를 기손강으로 끌어들이라고 말한다. 이는 장군에게 군사전략을 가르쳐 줌이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줌이다. 드보라의 예 언대로 하나님께서 폭우를 내리심으로 기손강은 범람하여 땅이 질퍽거리자 철병거는 진흙 속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시스라는 병거에서 내려 도보로 도망갔다.
(2) 헤벨의 아내 야엘
① 야엘 여인은 시스라를 죽여 전쟁을 끝낸 영웅이다.
- 시스라는 야엘의 장막으로 도망와서 급히 숨겨달라고 한다. 야엘은 지친 시스라가 식 사 후 깊은 잠에 빠지자 그의 관자놀을 말뚝으로 쳐서 죽인다. 하솔의 대장군 시스 라는 칼이 아닌 여인의 장막 말뚝에 의해 죽는다. 야엘 여인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스라엘을 위하여 시스라를 직접 죽인다. 하나님은 평범한 두 여인을 통해서 이스라엘을 구원하셨다.
(3) 여사사 드보라에게서 배울 점
① 드보라는 성경적 여성원리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사였다.
- 여성은 질서적으로 아담의 갈빗대로 만들어졌고, 역할적으로 아담을 돕는 배필로 창 조되었다. 돕는 배필이란 남자는 여자의 도움으로 완전해진다는 뜻이다. 성경적 여성 원리란 여자는 남자의 부족한 면을 도와주고 그와 함께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이다. 드보라는 이 점을 가장 잘 보여준 여성 지도자였다. 드보라는 여성으로서 남성 역할 을 가장 잘 완성시킨 여성이다.
- 남자와 여자는 경쟁관계가 아니라 상호의존, 상호보완 관계이다. 하나님은 남자와 여 자가 각자에게 주신 역할과 달란트를 사용해서 서로 도와 완전해질 것을 말하고 있 다. 사역해야할 남자가 힘을 잃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 하나님께서 여사사 드보라 를 세우신 이유이다.
② 드보라는 하나님 말씀으로 충만한 확신있는 여성 지도자였다.
- “이스라엘에 관원이 그치고 그쳤더니 나 드보라가 일어났고 내가 일어나서 이스라엘 의 어미가 되었도다”(삿5:7) 당시 이스라엘 남자들은 모두 시스라의 군대를 두려워하 여 숨을 죽이고 있었다. 아무도 감히 시스라와 맞설 생각을 하지 못했다. 드보라의 등장은 이스라엘 남자들이 영적으로 힘을 잃고 무너져가는 위기상황에서이다. 드보 라는 확신있는 여성 지도자였다. 모두가 방황하는 시대에 하나님을 경외하는 여인은 지혜롭고, 영적으로 힘이 있다. 드보라의 영적권위는 그녀에게 임한 하나님의 말씀이 었다.
③ 이 시대에 가정과 교회를 일으켜 세울 영적 드보라가 필요하다.
- 하나님께서 여사사 드보라를 세우신 것은 당시 이스라엘 남자들의 영적 무기력함을 보여준다.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시스라의 철병거에 굴복하고 두려워하는 영적 패배 감이 자리잡은 이때, 힘을 잃은 하나님의 군대에 다시 힘을 불어넣어줄 여사사 드보 라가 필요하다.이민 현장에서 지쳐있는 남자들을 일으켜 세울 가정과 교회의 영적 드보라가 필요하다.
<적용>교회와 가정을 일으켜 세울 영적 드보라들을 기다리며
(1) 우리의 작은 일에도, 하나님의 섭리가 있다.
- 시스라가 야엘의 장막에 들어간 것은 오래전 야엘의 남편 헤벨이 자기 족속을 떠나 가 나안 북부로 올라갔기 때문이다. 헤벨은 거기서 하솔왕과 서로 교류하고 화평하며 지내 게 된다. 그래서 시스라는 도망하다 헤벨의 집에 안심하고 들어갔고 거기서 죽게 된다. 우리 작은 일들 속에서 후에 이스라엘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큰 계획이 이루어진다.
(2) 이스라엘을 구원한 자는 대장군이 아니라 연약한 두 여인이었다.
- 하나님은 두 여인을 통하여 이스라엘을 구원하셨다. 이는 구원에 대한 어떠한 공로도 사 람이 가져가지 못하게 함이시다. 하나님은 연약한 자를 들어 강한 자를 부끄럽게 하시 는 분이시다. 연약한 우리가 하나님 손에 붙들린바 되면 이 시대를 살리는 도구로 쓰임 받을 수 있다.
(3) 이 시대는 하나님이 없어 방황하는 영적 사사시대이다.
- 나와 우리주님의 교회가 이 지역에 있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나님께서 전하라고 주신 말씀을 증거하기 위함이다. 연약한 여인이었던 드보라가 사사가 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셨기 때문이다. 우리도 전해야할 말씀이 있지 않은가? 잠시 지나가는 인생이 다.길어야 20년 안에 결론 나고 정리되는 우리의 삶이다. 여사사 드보라처럼 하나님 말 씀을 가지고 확신있게 나아가자. 하나님께서 이제 되었다고 하실 때까지 앞만 보고 나 아가자. 우리는 이것 때문에 부르심을 받았다.